주택연금 수령액 계산
주택연금이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. 주택연금은 간단하게 풀어서 말하자면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이에 대한 댓가로 매달 연금을 지급받는 행위를 주택연금이라고 합니다. 내 집을 맡겼는데, 그렇다면 주택연금을 얼마를 받는지가 가장 중요하겠죠.
주택연금은 많은 사람들이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쓰는 방식인 만큼 주택연금을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가 최대의 관심사입니다. 그래서 이번 글에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목차
1. 주택연금 신청자격은?
2.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
1. 주택연금 신청자격은?
우선, 주택연금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요? 주택연금 신청자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몇가지 조건이 있는데요,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연령
우선 주택 소유자나 아니면 그 배우자가 만 6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. (물론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적자여야 합니다)
주택 금액/ 주택 보유수
1가구 1주택일 경우: 주택 가격이 9억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1가구 2주택일 경우 & 9억원을 초과할 경우: 2주택자의 경우 주택 하나를 처분하시고 남은 주택이 9억 미만이어야 함
다주택자일 경우: 다주택임에도 그 합이 9억 미만이면 주택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실거주자
주택연금을 신청하기 위해선, 해당 주택에 실제로 거주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. 하지만 전세나 월세로 살고 있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으며 가입이 불가능 합니다.
2.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& 주택연금 수령액은?
우선,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방식은 조금 복잡할 수 있는데요.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일단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들어가셔야 합니다. 그 다음 주택연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참고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선 주택연금 인터넷 접수신청이 가능하고 이외에 주택담보대출 같은 조회가 가능합니다. 다양한 주택관련 정보가 많으니 시간내셔서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먼저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나오는 페이지입니다. 오른쪽 상단에 주택연금을 클릭해 주세요. 참고로 홈페이지 링크는 본문 하단에 첨부해 놨습니다. 먼저 글을 읽고 들어가셔서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주택연금을 소개하고 있는데요. 주택연금이 무엇인지, 주택연금 상품, 월지급금은 얼마인지 가입요건은 무엇인지 한 번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오른쪽에 보시면 예상연금조회라고 있는데요. 이것을 클릭해 주셔야 합니다.
예상연금조회에 들어가시면 주택소유자의 생년월일, 배우자의 생년월일, 주택가격, 월지급금등을 설정한 후에 최종적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. 그럼 한 달에 내가 주택연금으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다만 위에 적힌 용어들이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. 설명을 잠깐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지급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. 종신방식은 월마다 받는 연금을 평생동안 지급받겠다는 의미입니다. 확정기간방식은 내가 선택한 기간동안만 연금을 받겠다는 의미입니다.
대출상환방식은 주택담보대출 상환용으로 대출한도의 (50~90%) 범위에서 먼저 찾아 쓴 후에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 평생 연금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. 우대방식은 월지급금의 20%를 지급받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 우대방식의 정확한 정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용어도 잘 모르겠고, 계산하는것도 좀 귀찮다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아래 좀 더 쉬운 표가 있습니다. 이 표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이 이미 된 표입니다. 아래 표는 일반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표입니다. 보시다시피 70세이고 3억원의 수택을 가지고 있다면 매월 92만 2천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만약 내가 가지고 있는 주택이 일반 주택이 아니라 노인 복지주택이라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 만약 3억원의 노인복지주택을 보유하고 있고 만 70세라면 매월 약 80만 4천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종합
지금까지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방식에 대해서 살펴봤는데요. 다소 복잡한 부분이 있으니 아까 말씀드린대로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